자바스크립트 기초 -2

1 분 소요

코드 스테이츠를 통하여 현재 웹 개발자 과정을 진행중이다.

비록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그래도 정리 차원에서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자 한다.

변수

변수는 말그대로 변할수 있는, 확정되지 않는 것들을 말한다.

변수는 문자형태 일수도, 숫자형태 일수도 있다.

또한 변수들을 묶어서 저장하는 형태도 있으나, 지금 단계에서는 이정도로만 하겠다.

변수 선언을 하기위해서는

‘let (변수이름)’ 을 사용한다.

변수 선언을 하면 우선 타입과 값은 undefined를 가진다.

이 undefined는 타입이기도 하면서 변수의 값이기도 하다.

NULL과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차이점은 나중에 설명하겠다.

변수를 선언하고 나면, 이 변수에 값을 할당할수 있다.

’=’을 이용하여 뒤에 원하는 값을 작성하면 된다.

let num;

num = 50;

위의 두줄은 num이란 변수를 선언하고, 그 변수에 50이라는 값을 할당한 것이다.

또한

let num = 50;

이렇게 한번에 작성이 가능하다.

다만

let num2 =’abc’;

이렇게 문자형 변수를 할당한 변수와 위에서 50을 할당한 변수를 같이 사용하려면

(일반적으로)제약사항이 생긴다. ​

마지막으로 변수의 종류에 대하여

Boolean(불리언) 형태가 존재한다.

이 불리언은 나중에 작성할 비교문에서 자주 사용되며,

참(true), 거짓(false) 값이 존재한다.

선언은 기존 방식과 비슷하다 다만 저장하는것이 불리언타입일 뿐이다.

마찬가지로 동시에 값을 할당 가능하다.

요약

변수의 타입

숫자, 문자, 불리언

변수의 선언 및 할당

let (변수이름);

(변수이름) = (값);

혹은

let (변수이름) = (값);

Undefined vs NULL

언디파인드는 말그대로 정해지지 않음을 뜻하며, 타입이자 값이다.

변수가 선언되고 할당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언디파인드를 가지게 된다.

널은 이와 비슷하나 아주 다른 특성이 있는데, 수동으로 NULL을 지정해줘야 한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