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기초 -5
매우 주관적인 포스트로서 사실과 다를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인 정리 차원입니다.
이번에는 반복문, 연산자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한다.
반복문
반복문의 종류에는 두가지가 존재한다.
for문
for문은 아마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반복문이 될것이다. 처음에 조건만 잘 설정해 놓으면 변수 관리등등이 알아서 되니까.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for(초기화;조건;1회 동작이후 변수 설정){}
초기화는 말그대로 반복문에서 사용할, 조건에 이용되는 변수를 초기화 하는 부분이다. 물론 기존에 있던 지역변수를 이용해도 된다. 요 부분은 비어 있어도 무방하다.
조건. 반복문이 동작하게될 조건을 작성한다. 이부분은 반드시 작성되어야 한다.
1회이후 변수 설정 조건에서 사용한 변수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대하여 작성한다. 주의할점은, 조건에 맞게 값을 변화 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그램은 영원히 동작하게 된다. ex) for( let n=0; n<5 ; n++) -5번 실행된다. 만약 n–로 바꾸게 된다면 무한히 실행된다.
여기서 ++와 –의 역활은 반복문 1회 실행 이후 n값을 1 증가/감소 시키겠다는 의미이다. 만약 ++n/–n 이면 실행하기 이전에 값을 증감 시키겠다는 뜻이다.
++, –는 모두 연산자 이다.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몫), %(나눗셈, 나머지), **(제곱)이 존재한다.
이중 +,-는 양수, 음수를 표현하기도 한다.
자세한것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자.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Arithmetic_Operators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숫자 값(리터럴 또는 변수)을 피연산자로 받아 하나의 숫자 값을 반환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while
for문과는 비슷하지만 작성하기는 더 쉽다. while(조건){ } 끝.
다만, 반복문 1회 실행 이후 조건에 사용할 변수를 중괄호 안에서 변화 시켜줘야 하며, 이 변수의 초기화는 중괄호 밖에서 무조건 시켜줘야 한다. 중괄호 내부에서 초기화 시키면 무한 실행된다.
let n=0;
....
while(n<2){
n=0;
......
n++;
}
위 코드를 조금만 봐도 알 수 있을것이다.
- n++가 가장 간단한 작성법이지만, 다른 작성방법으로는 n +=1; 이 존재한다. 변수 += (숫자) 는 변수 = 변수 + 숫자를 축약한 것이다. 그러므로, 변수에 값을 숫자만큼 증가시키는 뜻이다.
+= 외에는 내가 자주쓰는 연산자는 -=(감소), *=(곱셈), (/= 나눗셈 몫을 저장), %=(나눗셈 나머지를 저장) 있다. 참고 - mdn 연산자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는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왼쪽 피연산자에 할당합니다.
mon 문서를 확인해 보니 비트 연산자 까지 존재한다.
댓글남기기